본문 바로가기
이달에 뭐했나요?

[2015 올해 뭐했나요] 교육형

by 공동체미디어 2016. 1. 20.





2015 올해 뭐했나요? - 교육형


ㅡ행복한 사진동아리 : 마을로 간 ‘행복한 사진동아리’

 ‘점점 발전해 나가는 우리 전시회’ 라며 환한 얼굴로 말씀하시던 어머님이 잊혀지지 않는다. 장애는 힘든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그 힘듦을 다른 활동으로 다른 방식으로 풀어나가는 가정도 있다는 것을 이번 사진동아리교육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ㅡ광진FM 준비모임 : 함께 놀자! 마을 라디오~

 광진구에서 새로 시작하는 마을미디어 준비라 온전히 새로운 장비들을 구매해야 했다. 구매를 위해 인터넷 서핑을 하다 보니, 의외로 장비를 선택함에 있어서 판단에 어려움을 구하시는 분들이 많았다. 그런 의미로 나름의 판단을 가지고 선택한 장비들을 정리하여 마을미디어 단체 분들과 그 정보를 공유했는데. 의외로 뜨거운 반응을 보여 주셨다.


ㅡ구로 마을방송 기획팀 : 마을방송 볼륨을 높여요

 이번 교육에 참여하신 손영미 님은 천왕동 마을공동체에서 오카리나 동아리 선생님을 맡고 계신 분이다. 장장 11주차에 걸친 교육을 함께하며 손영미 님은 교육생 중 쭈뼛거리고 걱정하는 분들께 따뜻한 격려와 세심한 피드백을 먼저 꺼내주셨다. 그렇게 격려가 오가는 분위기를 만들어주셔서 수강생들이 서로 힘을 낼 수 있었다.


ㅡ징검다리(마을지기) : 마을지기들이 주도하는 마을공동체 마을방송국 만들기

  미디어에 대해 접하고 배울 수 있어서 좋았다. 스마트폰으로 촬영부터 편집을 하고 직접 영상을 제작하며 새로운 세상에 온 것 같은 느낌이었다. 새로운 걸 배우고 적용을 하니 보람차고 뿌듯했다.


ㅡON동네 방송국 : DDP 라디오 프로젝트

 교육을 시작하기 며칠 전, 문의 전화가 한 통 왔다. 그 분의 거주지는 다름 아닌 ‘거제도’! 팟캐스트 제작을 배우기 위해 상경하시겠다는 말씀에 어쩔 줄 몰라 우물쭈물 망설이고 있는데, “거제도에서는 이런 걸 배울 수가 없어요, 제발.”하시는 목소리에는 간절함이 가득했다. 차마 거절할 수가 없었고, 교육이 끝나고 이 분이 다시 거제도로 가신대도, 그로 인해 거제에 마을미디어를 알리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는 의미를 부여하며 교육을 시작했다.

 교육을 마치고 정규 방송을 준비하는 지금, 놀랍게도 가장 왕성하게 활동하는 분이 바로 이 거제도에서 오신 분이다. 10주간 거제와 서울을 오가며 지각 한 번 없이 교육에 참여하셨고, 함께 밤새워 공개방송을 준비한 것은 물론, 지금은 우리 집에서 함께 지내고 계신다. 참여자 분들 중에 방송국 주변 이웃들과 인사를 나누는 유일한 분, 서울 곳곳을 누비며 우리 방송국을 알리고 수많은 사람들을 게스트로 참여시키는 ON동네방송국 ‘홍보대사!’ 괜한 우려로 소중한 인연을 놓치는 분들이 없기를 바라며 이 사연을 소개한다.


ㅡ동작마을TV : 영상으로 전하는 동작 마을이야기 “라이브동작”

 청소년 휴카페 ‘나무’를 주제로 한 영상을 제작했다. 지역 뉴스를 제작하는 것을 넘어 지역의 풀뿌리 단체와 연대하고 그들의 활동을 응원하며 그들과 청소년들의 사이를 이어주는 역할까지 했다는 점에서 카페 나무 촬영은 잊을 수 없을 것 같다.  


ㅡ성동FM 빅픽쳐 소리의 풍경 : 성북FM 빅픽쳐 소리의 풍경

 그동안 모르고 있던 인간으로서의 내면의 풍경을 엿듣는 즐거움, 녹록치 않은 세상살이와 그 속에서 살아남는 지혜와 상황을 견디는 힘이 무엇인지 공감하는 시간들에서 오는 울림을 전해들을 수 있어서 너무나 행복한 경험이었다.


ㅡ엶엔터테인먼트 : 성북청년라디오네트워크

 “나도 이제 팟캐스트 할 수 있다”라는 주제로 진행되었던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마을미디어 활동에 있어서 제작 영역을 넓혀나가게 됐다. 하나의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만들어 내는 것 외에도 콘텐츠를 다양화 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ㅡ아사다모 : 아사다모(아주 사적인 다큐로 모이자)

말 그대로 아주 사적인 다큐로 모인 사람들. 주제도 이유도 제각각. 할머니를 2년 동안 인터뷰해온 참가자는 그 2년 동안의 기록으로 다큐멘터리를 만들고자 했고, 30대를 앞둔 참가자는 30대가 된다는 의미가 궁금해 인터뷰를 시작했습니다. 20대부터 50대 까지 여성의 삶을 조명하는 기획도 있었고, 집근처 불필요한 개발에 이의를 제기하기도 했습니다.


ㅡ한아름 방송국 : 정신장애인 한아름방송국, 마을을 보고, 느끼고 표현하다

 나의 꿈, 나의 희망을 그리며 많은 사람들에게 희망과 꿈을 주는 그림을 그리고 싶다. 이번 미디어 교육을 통해 내 그림을 많은 사람들이 볼 것이라는 것에 뿌듯함을 느끼고, 전에 있던 우울함은 자신감으로 변화해 나가고 있습니다. ------- 한아름 잡지 ‘세상에 말을 걸다’의 벽을 넘다 - 우리들의 이야기 中


ㅡ이주민방송 : 이주민의 목소리는 마이크를 타고

 교육에 참여한 네팔인 카말 바르하토키 씨는 일요일 라디오 교육에 참여하기 위해 공장 사장에게 양해를 구하고, 교육 전날인 토요일 밤 늦게까지 공장에서 홀로 일을 했다고 한다. 이렇게 힘든 일정 속에서도 가장 먼저 교육장에 도착하고 한국어 의사소통이 조금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가장 열정적으로 교육에 참여했다. 비록 네팔어라서 전부 알아듣기는 힘들었지만, 과제로 빽빽하게 대본을 적어오는 모습을 보면서 모두 큰 감동을 받았다.


ㅡ우마미-틴 : 우리도 라디오를 만들어보자!

 학생들 각각에게 명함을 만들어줬다. 모든 상황을 학생들과 공유하며 더더욱 책임감을 느끼게 해주었다. 2명으로 시작한 모임이 2년 만에 20여명이 되었고 이는 많은 학생들이 그 만큼 즐겁고 의미 있게 참여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ㅡ동그라미 : 스마트 어울마당

 아이들이 어찌나 많이 먹던지 지원금을 받아서 참 다행이었다. “초딩들은 괴로워”를 찍을 때 아이들과 밤늦은 시간까지 촬영을 했는데, 어떤 장면은 18번을 다시 찍어도 시종일관 즐거웠다. 잘 먹어서 그랬던 것 같다.

 동네영화제를 포함한 마을잔치를 계획할 당시 발생하는 민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생각을 나누었다. 숙고 끝에 잔치 하루 전, 현장의 인근 4개동의 전 거구의 현관문에 양해의 글을 붙였는데, 그래서인지 한건의 민원도 발생하지 않았다. 여러 사람의 생각이 모이면 매우 다양한 생각을 나눌 수 있어 좋은 것 같다. 


ㅡ네이처힐5단지 작은도서관 미디어팀 : 우면 미디어 캠프

 어렵게만 느껴졌던 미디어를 아이들도 쉽게 접하고 함께 즐길 수 있게 되었다. 특히 거울을 보며 놀라는 촬영 장면은 쌍둥이 자매와 함께 재미있게 촬영했다.


ㅡ우리마을기자단 준비모임 : 우리마을기자단

 많은 사람들의 마음이 닫혀 있어서 인터뷰에 응해주지 않을 것이라는 편견이 깨진 어르신, 진심어린 마음으로 진정한 친구가 되어가는 수강생들의 모습은 이 사업을 계속 하는 가장 큰 이유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