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터뷰

[소식지 2호] 창신동 여인네 이야기_강사 및 운영담당자 그룹인터뷰 "열정을 가진 언니들과의 만남이 고마워요"

by 공동체미디어 2013. 7. 11.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소식지 2호] 창신동 여인네 이야기_강사 및 운영담당자 그룹인터뷰

"열정을 가진 언니들과의 만남이 고마워요" 

 


 

 

 

 

 

  편집자 주.

'사람들 이야기(Interview People)'에서는 매월 정기적으로 우리마을 미디어문화교실에 참여하고 있는 풀뿌리단체(혹은 주민모임) 인터뷰를 연재하고 있습니다. 초기 기획부터 현재 참여자들과 함께하기의 과정까지 직접 준비하고 기획한 선생님들에게 당시의 비하인드 스토리를 소개해 드립니다. 지난호에 이어 세 번째로 방문한 곳은 종로구 창신동에 위치한 <종로구지역아동센터협의회>입니다. 이곳에선 ‘라디오와 함께하는 “3시간의 자유”-창신동 여인네 이야기’라는 이름으로 여성 노동자들과 함께 직접 라디오 프로그램을 만들며 사람 사는 정이 담긴 감동적인 스토리를 만들어가고 있다고 합니다. 어떤 이야기인지 교육운영자 조은형 선생님과 허장휘 강사님, 그리고 안정임 보조강사님을 찾아가 이야기를 들어보았습니다. 

 

글, 편집 : 최미라(우리마을 미디어문화교실)

사진촬영, 녹취 : 박예슬(한국예술종합학교)

 

 

 

 

 

 

Q. 안녕하세요. 자기소개 먼저 부탁드립니다.

짱피디: 안녕하세요. 저는 허장휘라고 하고 여기서 별명은 짱피디입니다.

정임: 저는 안정임입니다. 별명은 그냥 정님입니다.(웃음)

작가: 안녕하세요. 저도 별명을 쓰고 있습니다. 저는 별명 작가인 조은형입니다.

 

▲ 종로구지역아동센터협의회 조은형 교육운영자(왼쪽), 안정임 보조강사(중앙), 허장휘 주강사(오른쪽) 선생님들. 어떻게 찍으면 되는지 난감해 하시면서도 유쾌하고 신나는 포즈를 취해주셨다.

 

 

Q. 세 분 모두 창신동에 사시나요?

작가: 저는 여기 지역아동센터 교사를 하면서 창신동으로 오게 됐습니다. 2003년부터 일을 했으니까 창신동과 인연을 맺은 지는 10년, 이사 와서 산 지는 6년 됐습니다.

정님: 저도 교사를 하면서 창신동에 왔습니다. 그 전에는 인근에서 살았구요.

짱피디: 저는 이번에 라디오 교육에 참여하게 되면서 창신동과 인연을 맺게 됬습니다. 그 전까지는 여기에 개인적으로 아는 분이 있어서 왔다 갔다 했었던 정도구요.

 

Q. 모두 쉰다는 일요일에 나오셔서 준비하고 진행하는 과정이 피곤하시지 않나요?

작가: 평일에 하면 편하긴 하겠죠. 하지만 여기 오시는 참여자들은 평일이 제일 바쁩니다. 주로 토요일 밤늦게까지 일하시는 분들이 많거든요. 그렇다보니 여기에서 지역 분들하고 같이 활동을 하려면 일요일밖에 시간이 안됩니다. 왜냐면 그분들한테 있어서는 일요일이 유일한 휴일이니까요. 그래서 사실 오전부터 시작하기도 어렵습니다. 토요일 밤늦게까지 일하고나면 피곤하잖아요. 그렇다보니 식구들과 함께 시간을 보낼 수 있는 날도 일요일 밖에 안되는데 유일하게 가족끼리 함께 저녁을 먹을 수 있는 시간에 일정을 잡기도 난감했습니다. 그래서 이래저래 일요일 오후 낮 시간으로 정하게 됐습니다.(웃음)

 

Q. 오늘(8월 20일)은 청취회가 열리는데요. 이 청취회가 있기까지 어떤 과정들이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짱피디: 처음에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단계부터 청취회를 목표로 하고 커리큘럼을 만들었습니다. 과정을 짧게 말하자면 참여자분들이 방송을 만들자면서 구성을 직접 하셨습니다. 저희는 몇 가지 매개만 던져 드렸구요. 그 안에서 어머님들이 토론하고 회의하셔서 기획, 구성, 녹음을 직접 하셨습니다.

작가: 청취회는 크게 두 부분입니다. 첫 번째는 사람들이 자신의 사연을 이야기하고 그 속 이야기를 많이 하는 시간이 있었습니다. 의미 있는 시간이었죠. 그 때 참 이야기도 많았습니다. 울기도 많이 울었구요.(웃음) 저희는 별명으로 부르고 있는데 처음에 별명을 쓰길 잘한 것 같아요. 별명을 붙여줄 때부터 솔직한 자기 사연을 많이들 얘기하셨거든요. 그 때부터 친밀도가 확 생긴 것 같습니다. 아마 마을에 대해 먼저 이야기 하자고 했다면 이런 이야기까지 나올 수 있었을까? 라는 생각도 듭니다.

 

Q. 어떤 이야기가 있었는지 그 때의 에피소드를 좀 더 들려주실 수 있나요?

작가: 녹음 갔을 때 일인데 한 분이 우셨어요. 자기 인생과 관련된 개인 사연을 두 분이 하셨는데, 두 분 다 봉제 일을 오래하신 분들입니다. 그 중에 한 분이 13살 때부터 봉제 일을 하신 분이 계세요. 그런데 이 분의 사연을 듣고 갑자기 다른 분이 울음을 못 그치고 계속 우시는 거예요. 그래서 잠시 멈췄었던 기억이 있습니다.(청취회 중에도 한 분이 감정에 북받쳐 눈물을 흘렸습니다.) 그 내용엔 살면서 힘들었던 일들도 있고, 각별한 언니한테 보내는 내용도 있었는데 처음에 “언니”하는 부분에서 울컥하시더라고요. 그 때 너무 멋있었습니다. 힘들었던 시절의 이야기를 풀어내시면서 힘들었던 시절이지만 그만큼 열심히 살아오셨고 자신의 삶을 당당하게 이야기하는 모습이요.

 

Q. 청취회 구성은 어떻게 하신 건가요?

작가: 우리 마을을 주제로 프로그램을 해보자는 것만 제시하고 마을에 대해서 어떤 이야기를 할 것인지에 대해 브레인스토밍을 했습니다. 짱피디가 사람들이 쏟아내는 이야기를 보드에 적고, 즉석해서 묶어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습니다.

 

Q. 참여자분들이 녹음하실 때 어려워 하시거나 긴장하시진 않으셨나요?

짱피디: 떨리긴 했었죠. 사실 오늘은 두 번째 청취회입니다. 원래는 오늘(20일)이 녹음이었는데 이걸 한 주 앞당기게 돼서 충분히 논의할 시간이 없었습니다. 결과적으로 걱정했던 것 보다 즉석해서 잘 소화해 내셨습니다. 어려워하시고 떨 거라고 생각했는데 그러지 않으시더라고요. 관악 FM에 녹음 갔을 때 계셨던 분이 ‘대본이 없이 하는 게 나았을 수도 있었다’고 말씀하셨는데 그러는 게 나을 뻔 했을 거라고 저도 생각합니다. 정말 잘하셨거든요.(웃음) 첫 번째 녹음 때 워낙 떠셔서 오히려 교사들이 우려해서 대본을 만든 것이 아닌가 생각되더라고요.

 

Q. 이렇게 함께하기 위해서 여러 과정이 필요했을 것 같습니다. 그 과정이 궁금한데요. 우리 마을 미디어 문화 교실에 참여하시게 된 계기가 무엇인가요?

작가 : 작년부터 창신마을넷에서도 교사나 단체에서 의논을 했습니다. 활동하는 사람들이 모이는 과정에서 재미있는 것을 해보자하고요. 실질적으로 주민들과 만날 수 있는 장이 없던 단체 상황에서 서울시에서 우리마을 미디어교육을 지원한다는 공지를 보고 ‘왔구나!’(웃음). 이게 타이밍이라고 생각했어요. 제 개인적인 욕구도 작용을 했었고요. 마을에서 뭔가 재밌는 것을 해보고 싶다는 저의 욕구와 단체의 욕구, 서울시의 공지 이 세 가지의 욕구가 시기상 잘 맞았던 것 같습니다. 이제 ‘참여자를 어떻게 모을까?’ 하고 고민하다가 기획회의 때, 교육계에 경험이 있었던 선생님들의 조언이 있었습니다. 사회적인 발언을 할 기회가 별로 없었던 여성들이 남자들과 함께하면 자기의 속이야기를 제대로 못하는 걸 많이 경험하셨다고 하시더라고요. 이번에 저희의 1차 목표가 자기 속 이야기를 풀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렇다면 여자들로 한정해서 자기 얘기를 편안하게 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자고 했어요. 그래서 지금의 참여자들과 함께 여기까지 오게 된 것이죠.

 

Q. 창신마을넷은 어떤 곳인가요?

작가 : 창신마을넷은 창신동에서 재밌고 즐겁게 살아보려고 하는 사람들의 모임입니다. 개인과 주민, 단체가 함께 회원이 되어있는 상태고요. 창신마을넷이 청소년, 지역아동센터에 속해있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한 활동이라면, 여기는(종로구지역아동센터협의회) 라디오교실의 주민들을 만나는 첫 모임이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여기서부터는 청취회 준비를 위해 정님님, 짱피디님은 가시고 작가님이 남아 인터뷰에 응해주셨습니다.

 

 

Q. 참여자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표현하기엔 영상이 더 좋지 않을까요?

작가 : 그래서 무엇을 하면 좋을지 고민을 했었습니다. 주민들하고 할 수 있는 미디어가 무엇일까. 제가 영상 지도를 해봤는데 영상이 쉬워보여도 생각보다 편집과정에서 기술적인 벽이 꽤 높은 거예요. 그런 이유와 더불어서 참여자분들은 주로 라디오 들으면서 일을 하시는 시간이 많습니다. 그러다보니 아무래도 라디오가 친숙한 매체이겠죠. 그래서 라디오로 하는 것으로 됐고 결과적으로 ‘창신동 여인네 이야기’는 이것이 잘 맞은 것 같습니다.

 

Q. 어려운 과정 중에 하나가 참여자를 모으고 이끌어가는 과정이라고 생각되는데 어떻게 사람들을 모으고 이끌어가셨나요?

작가: 참여자를 모으는 것은 어려웠는데, 이끌어가는 과정은 어렵지 않았어요. 자기 안에 에너지, 열정을 가지신 분들이 많아요. 그래서 스스로들 열심히 하세요. 또 이분들의 얼굴이 밝아지는 것을 보면서 오히려 제가 더 오버하게 되고 더 열심히 하게 되고 그러는 것 같습니다. 블로그나 카페 이런 것들을 원래 잘 운영하지 않는데, 열정적으로 참여자분들을 보면 제가 뭔가 더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게 되면서 어느새 사진을 정리하고 있는 거예요. 자연스럽게 그렇게 됐어요. 모집은 왜 어려웠냐면 얼마만큼 모일지 짐작할 수 없고 주민 분들의 욕구와 기획이 맞아떨어질지는 제가 알 수가 없으니까 불안했어요. 실질적인 것들은 그냥 하면 되는 것인데, 이분들이 좋아할까, 얼마나 모일까 하는 것은 모르는 상태였으니까요. 그 점이 어렵다면 어려운 부분이었죠.

 

Q. 그렇다면 앞으로 창신동 여인네 참여자 분들과 어떤 후속계획을 가지고 계신가요?

작가: 아직 확실하게 정해진 것은 아니라 지금 어떻다고 말하긴 힘드네요. 하지만 2기에는 참여자를 남성까지 확대해서 마을미디어로서의 기능을 하는 라디오를 기획부터 배포하는 과정까지 해보려고 합니다. 이후에는 관심있는 사람들끼리 팀을 이루어 조금씩 지속적으로 라디오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고 싶은 생각이 있습니다. 저희들이 할 수 있는 가능한 선에서 참여자들과 함께 마을미디어를 만들어나갈 생각입니다.(웃음)

 

Q. 교육이 막바지에 접어드는데, 조금 이르지만 마무리를 준비하고 계신 선생님의 소감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작가: 제 식으로 추상적으로 얘기하자면 따뜻하고, 되게 강렬한 그런 기억이고요. 화끈하게 사람들이랑 잘 논 것 같습니다. 그리고 뭐라고 얘기해야 되나. 제가 여기서는 나이가 조금 어린 편인데 저도 사는 게 녹녹치 않다고 생각하거든요. 그런 삶을 정면으로 잘 받아내서 살아낸 언니들 만나서 되게 든든하고. 든든하다는 말이 맞는 거 같습니다. 다들 그렇겠지만 이 시대를 정면으로 산다는 것이 쉽지만은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것은 본인의 몸을 써서 일을 하고, 가족들과 열심히 살아간다는 뜻이기도 하니까요. 그러면서도 가슴 속의 열정을 꺼뜨리지 않고, 이런 기회를 잡아서 결과물을 만들고 열심히 해내는 그런 열정을 가진 언니들을 만나서 고맙고 또 좋습니다.

 

Q. 바쁜 시간에 인터뷰에 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작가: 네. 감사합니다.

 

 

 

 

 

 '사람들 이야기(Interview People)'에서는 매 월 우리마을 미디어문화교실에 참여하고 있는 풀뿌리단체 및 참여자들의 목소리를 담은 인터뷰를 연재하고자 합니다. 우리 교육을 다른 사람들과 함께 알리고 공유하고 싶은 분들께서는 아래의 연락처로 문의해 주시면 찾아가도록 하겠습니다.

 

⊙ 우리마을 미디어문화교실 사업단: scmedu2012@gmail.com/  070-4352-637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