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지사항

[교재] 마을미디어 첫걸음 시리즈(라디오, TV, 신문)

by 공동체미디어 2016. 11. 8.

2016_마을미디어교재첫걸음시리즈_마을TV첫걸음.compressed.pdf

2016_마을미디어교재첫걸음시리즈_마을라디오첫걸음.compressed.pdf

2016_마을미디어교재첫걸음시리즈_마을신문첫걸음.pdf



[교재] 마을미디어 첫걸음 시리즈(라디오, TV, 신문)




올 2016년 2월 발간된 마을미디어 기초 교재 인쇄용 PDF파일을 공유합니다.

해당 교재는 라디오, TV(영상), 신문, 총 3종으로 발행되었으며 2016년 11월 현재 라디오 교재만 오프라인 책자 재고가 남아있습니다.

TV와 신문 교재는 모두 품절된 관계로 첨부된 인쇄용 PDF파일을 다운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라디오 교재는 오프라인 책자를 받아보기를 원하시는 경우 서울마을미디어지원센터로 문의(02-3141-6390, mediact@maeulmedia.org)주시고, 파일로 보시려면 함께 첨부된 PDF 파일을 참조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서문) 마을미디어 교육, 첫걸음을 내딛으며



교재 개발 배경


 서울시가 '마을미디어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교육을 시작한지 3~4년이 흘렀습니다. 그동안 약 서른 곳에서 마을방송, 마을신문이 생겨나고 마을미디어 활동에 참여하는 참여자와 결과물 콘텐츠의 수도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주민들은 새로운 방식의 의사소통과 공론장 형성을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마을미디어는 어떤 사람들에게는 꿈을 실현시켜주는 것, 또 어떤 사람들에게는 새로운 이웃을 만나고 공동체를 형성하게 해주는 것이 되었습니다. 때로는 지역 언론의 기능도 수행했습니다.

 마을미디어는 그동안 현장에서 다양한 성과를 거뒀지만 교육을 위한 체계화된 커리큘럼과 자료가 충분치 않아 어려움을 겪는 곳이 많았습니다. 자료도 여기저기 흩어져 있어 그때그때 찾아서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습니다.

 <마을미디어 교재 - 첫걸음 시리즈>는 이러한 고민에서 출발했습니다. 서울마을미디어지원센터와 현장의 마을미디어 활동가들 사이에 공감대가 형성되고, 그동안의 마을미디어 교육 현장을 거치며 쌓아온 경험과 참여자 특성, 현장 상황을 두루 반영하고자 했습니다. 2015년 발간된 <마을미디어 가이드북 - 떠나자! 서울마을미디어 여행>이 서울 마을미디어의 개괄적 부분을 보여줬다면 이번 교재는 마을미디어 활동을 좀 더 체계적으로 준비하기 위한 길잡이가 되어줄 수 있을 것입니다.


교재의 구성과 특징


 이 교재는 마을라디오, 마을TV, 마을신문 등 각 매체별 총 세 권으로 구성했습니다. 실제 마을미디어 활동은 더 다양한 형태로 진행되지만 일단 이번 교재에서는 현장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는 매체를 중심으로 다뤘습니다.

 각 책은 총 4부로 구성됩니다. 1부 '교육을 시작하며'에서는 마을공동체와 마을미디어를 개괄적으로 이해하는 데 필요한 내용을 담았습니다. 2부 '마을라디오/TV/신문, 어떻게 만드나요?'에서는 각 매체별로 기획 단계에서부터 제작 준비, 제작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설명했습니다. 3부 '마을라디오/TV/신문, 어떻게 보고 듣나요?'에서는 제작만큼 중요한 배포와 홍보의 의미와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마지막으로 4부 '지속가능한 마을라디오/TV/신문을 위해'에서는 교육이 교육으로만 끝나지 않고 후속 활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참여자들이 함께 고민해야 할 질문거리들을 던져놓았습니다.

 이 책은 미디어교육 교재이긴 하지만 기술적 내용보다는 공동체 소통에 더 초점을 맞췄습니다. 마을미디어교육은 콘텐츠 제작 자체가 목적이라기보다는 제작을 통해 마을공동체를 형성하는 과정 자체에 더 의미를 두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교재는 미디어 활동을 매개로 공동체와 소통하는 방법까지 두루 고민할 수 있도록 만들었습니다.

 이 책의 독자는 마을미디어에 처음 진입하는 '초급 참여자'를 기본 대상으로 설정했습니다. 초급 참여자란 마을공동체와 마을미디어 활동에 어렴풋이 관심은 있지만 직접 경험한 적은 거의 없는 주민을 뜻합니다. 교육을 진행하는 주체 단체 또한 이미 마을방송이나 마을신문을 운영하고 있는 상태가 아니라 초기 참여자 모집 단계로 전제했습니다. 따라서 교재의 내용은 개별 콘텐츠 기획에 초점을 맞추고 전체 운영에 관한 내용은 일부만 담겼습니다. 이 교재가 마을미디어교육을 처음 시작하는 참여자들을 위한 첫걸음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교재의 한계와 발전 방향


 초급 과정으로 설정하고 교재를 구성하다 보니 생략한 내용이 많습니다. 쉽게 쓴다고 썼는데도 미디어교육에서 쓰는 용어 자체가 낯설다 보니 어떤 참여자들에게는 어렵게 느껴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교재의 독자층을 처소년부터 중장년까지로 설정하여 어린이나 어르신 참여자가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하다는 한계도 있습니다.

 또한 마을미디어교육에서 교육보다 중요한 것은 후속활동입니다. 후속 활동이란 교육 이후 참여자들을 지속적으로 관리해가면서 마을방송, 마을신문 제작 모임의 형태를 조직해 활동하는 것을 뜻합니다. 하지만 이 교재에서는 참여자 모집과 후속 활동 등에 대해서는 부분적으로만 담았습니다. 이후 심화 수준의 교재를 만든다면 교육의 앞뒤에 필요한 내용도 반영해야 할 것입니다.

 <마을미디어 교재 - 첫걸음 시리즈>가 이 세상에 나오기 위해 애써주신 분들이 많습니다. 먼저 각 매체별로 마을미디어 현장 활동가들이 1년 가까운 기간 동안 기획과 집필에 참여해 주셨습니다. 동작FM 양승렬 방송국장과 김아리PD(마을라디오), 마을미디어 도봉N 이상호 편집위원(마을신문), 마을미디어 도봉N 박영록 PD와 와보숑 송주민 PD(마을TV) 님께 감사드립니다. 마을공동체와 마을미디어 일반에 대해 글을 써주신 서울시 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소통과연구실 김수경 실장, 미디액트 미디어교육실 김희영 전 실장님께도 감사드립니다.

 어려운 자문을 맡아주신 전주시민미디어센터 영시미 최성은 센터장님, 익산공공영상미디어센터 재미 홍교훈 전 사무국장님, 서울시 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찾아가는동주민센터 추진지원단 마을계획팀 선기영 팀장님, 그리고 부산민주언론시민연합 복성경 대표님께 감사드립니다. 마지막으로 복잡한 행정 절차를 도맡아준 서울시 문화예술과 담당자에게도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마을미디어 교재 - 첫걸음 시리즈>는 교재로서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서울마을미디어지원센터에서는 앞으로 이 교재를 실제 현장에서 활용해보면서 보완해나가려고 합니다. 이 책을 보는 독자 여러분들깨서도 오탈자나 내용적 오류를 발견하면 서울마을미디어지원센터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2016년 2월

서울마을미디어지원센터




(차례)


서문 : 마을미디어 교육, 첫 걸음을 내딛으며


- 교재 활용하기


- 그림으로 보는 마을라디오/TV/신문 교육 과정


1부. 교육을 시작하며


1장. 대도시 서울에서 마을이라고요?


- 마을, 공동체, 마을공동체에 대한 이해


- 마을공동체가 추구하는 가치와 철학


- 마을공동체 사례 살펴보기


2장. 마을미디어, 그게 무엇인가요?


- 마을미디어의 이해


- 마을미디어의 종류와 콘텐츠 살펴보기


- 미디어 읽기(리터러시)와 마을미디어


※ 서울시 마을미디어 지도


3장. 마을라디오/TV/신문, 그게 무엇인가요?


- 마을라디오/TV/신문 개념과 정의


- 마을라디오/TV/신문의 중요성과 특징



2부. 마을라디오/TV/신문, 어떻게 만드나요?


(매체에 따라 상이함)



3부. 마을라디오/TV/신문, 어떻게 보고 듣나요?


(매체에 따라 상이함)



4부. 지속가능한 마을라디오/TV/신문을 위해


(매체에 따라 상이함)


댓글